트럼프 대통령의 취소 발표 이후에 북한 쪽에서도 반응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반발 분위기는 아니었고요. <br /> <br />"유감이다. 나름 준비하고 있었는데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. "언제든 만날 용의가 있다"는 입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 나와주세요. <br /> <br />북한의 첫 반응이 아주 나쁘진 않은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유감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말씀하신 대로 반발은 아니고 분위기도 한층 누그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신속하게 입장을 냈는데, 김계관 외무성 부상의 담화 형식으로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 부상은 먼저 트럼프 대통령이 어젯밤 북미 정상회담을 갑자기 취소한 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반도 평화를 위하는 북한의 목표와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항상 대범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 측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뜻을 거듭 강조하며 회담 재개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에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고도 밝혀, 이런 의사가 김 위원장의 뜻이라는 것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생각했던 대로 북한에서는 회담을 하고 싶은 거죠? 앞서 내놓은 입장도 판을 깨겠다는 것이 아니었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김계관 부상의 담화엔 회담을 다시 살려보겠다는 의지가 분명히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회담 무산의 책임을 북한에 돌린 데 대해, 매우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어떻게든 북미 정상회담을 되살리려 하는 의지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취소 이유로 북한의 커다란 분노와 노골적인 적대감을 거론한 데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방적인 핵 폐기를 압박해온 미국 측의 지나친 언행에 대한 반발일 뿐이라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은 두 차례 외무성 부상 담화를 통해 북미 회담을 재고할 가능성을 내비쳤는데, 이 담화들이 모두 정상회담을 깨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밝힌 셈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북미 정상회담에 나서겠다고 밝혀온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도 높이 평가했고, <br /> <br />이어 백악관에서 리비아식 해법을 부정하며 밝힌 '트럼프식 해법'에도 구체적인 관심을 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의 우려를 모두 해소하면서 북한의 요구 조건에도 맞고 문제 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52513492780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