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미정상회담 이후 처음으로 평양을 방문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번 회담이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의 반응은 다소 싸늘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이 엇갈린 반응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폼페이오 장관은 이번 방북에 큰 진전이 있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: 여러 시간 동안 생산적인 대화를 나눴습니다.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지만 핵심 사안 대부분에서 진전을 이뤘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 동창리 미사일 시설 폐쇄를 위한 실무회담 개최에 합의하는 등 북미 회담 후속조치도 잘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: 북한은 미사일 엔진 실험 시설 문제도 재차 확인했습니다. 세부 원칙들에 대해 얘기를 나눴고 진전이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을 떠난 직후 북한이 회담 결과가 우려스럽다고 밝히는 등 다소 싸늘한 반응을 내놓자 이번 방북에 대한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포스트는 북한 외무성의 유감 표명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면담 불발을 거론하며 "비핵화 돌파구를 확보하지 못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월스트리트 저널도 북미의 입장이 충돌하면서 핵 협상이 균형을 잃었다며 협상의 운명이 의문에 빠졌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잇따라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. <br /> <br />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번 회담이 아주 나쁜 신호라고 생각한다고 밝혔고 <br /> <br />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한국 석좌는 추가 고위급 회담에 대한 약속도 없이 별로 얻은 게 없는 회담이라고 꼬집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의 이런 반응이 북한의 전형적인 협상술이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방북에 동행한 ABC방송 기자는 미국 관리들은 북한의 이런 움직임을 하나의 협상 전략으로 보고 있다며 과도한 우려를 경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 고위 외교관도 동창리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논의를 위한 실무급 회담 합의를 강조하며 후속 협상의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[sunny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70818102642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