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4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, ARF 회의가 열릴 싱가포르에선 '종전선언'을 놓고 물밑조율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남북은 판문점 선언에서 약속한 대로 조기 종전선언을 목표로 하지만, 선 비핵화 조치를 강조하는 미국의 입장은 다른데요, 공전을 거듭하는 북미 대화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의 핵·미사일 도발에 대한 성토가 주를 이뤘던 지난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, ARF. <br /> <br />올해는 분위기부터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아세안 외교장관들과 만나 1년 사이 급변한 한반도 정세를 설명하고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지금 한반도의 역사적인 방향이 바뀌고 있고 두 정상이 이걸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한 지지를 계속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.] <br /> <br />정부가 조기 종전선언을 목표로 관련국 간 물밑 조율에 애를 쓰는 가운데, 10년 넘게 중단됐던 남북, 북미 간 외교장관 회담이 재개될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우리 정부는 북한에 외교장관 회담을 제안한 뒤 답을 기다리는 중이고, <br /> <br />미 국무부도 북한과 예정된 회담은 없다고 밝혔지만 의미 있는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. <br /> <br />[헤더 나워트 / 美 국무부 대변인 : 미국은 최근 북한과의 대화를 계속하고 있고 계속 해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ARF를 하루 앞둔 내일 싱가포르에 도착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남북, 북미 외교장관 간 만남이 이뤄지더라도 종전선언의 진전을 기대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미 국무부는 이번 ARF에서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와 이를 위한 대북제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겠다고 예고해 북한 대표단의 반응이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최근 북한과 밀착관계를 보이는 중국이 종전선언과 대북제재에 어떤 입장을 보일지도 새로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, 회의 기간 내내 관련국들의 치열한 외교전이 펼쳐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싱가포르에서 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80200042410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