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(4일)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, ARF에서 대북제재를 둘러싼 관련국 간 신경전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대북제재를 확고히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가운데, 중국은 단계적 해제를 시사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종전선언 논의도 한층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세안지역안보포럼 ARF 외교장관 회의차 싱가포르를 방문한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북한 비핵화 진전에 따라서 대북제재도 당연히 재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'진전'이라고 평가할 정확한 기준을 밝히진 않았지만, 비핵화 조치가 이행될 때마다 제재를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왕이 / 중국 외교부장 : 대북제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서 당연히 새롭게 다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비핵화의 진전에 따라서요.] <br /> <br />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대북제재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과는 전혀 다릅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최근 완전한 비핵화의 범위를 대량 살상무기까지 확대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美 국무장관 : 북한이 모든 대량 살상무기를 제거할 때까지 미국과 UN의 제재는 계속 유지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은 북한 리용호 외무상이 참석하는 ARF에서 대북제재를 거듭 강조한다는 방침이어서 미·중 간 신경전과 함께 북한의 반발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우방국 외에 여러 나라와 양자 회담을 추진하고 있어 대북제재 해제를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약속이 실현될 때까지 제재는 유지돼야 한다며 미국과 입장을 같이 했지만 다소 곤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최근 정부의 이런 입장에 거듭 불만을 쏟아내고 있는 데다, 리용호 외무상은 강 장관이 일찌감치 제안한 남북외교장관 회담 개최에도 아직 답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북제재에 이어 종전선언에 대해서도 미국은 시기상조, 중국은 시대의 흐름이라며 상반된 입장을 보여, 이번 ARF에서 종전선언 논의를 진전시키려던 정부의 계획도 차질을 빚을 거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싱가포르에서 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80300052756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