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신상엽 / 한국의학연구소 감염내과 전문의 <br /> <br /> <br />메르스가 확산할 가능성은 없는지, 예방법은 뭐가 있는지 전문가와 얘기해 보겠습니다. 신상엽 한국의학연구소 감염내과 전문의 연결해 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 <br />일단 메르스가 어떤 질환인지 정리해 봤으면 좋겠습니다. 어떻게 감염되는 병이고 또 치사율이 얼마나 되는 질병인가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메르스는 원래 감기를 주로 일으키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종을 일으켰고요. 그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감염병이라서 호흡기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주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고 특히 감기와는 달리 중증 폐렴을 잘 일으키기 때문에 나라마다 좀 다르기는 하지만 한 20~40% 정도의 치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메르스가 혹시나 더 퍼지지는 않을지 걱정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. 실제로 3년 전 때를 보면 메르스 사태 때 180여 명이 감염이 되고 30여 명이 숨지지 않았습니까? 당시에 이렇게 넓게 퍼졌던 이유는 뭐고 또 지금과는 상황이 달랐는지 이 부분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3년 전에는 감염력이 있는, 증상 있는 환자의 진단이 너무 늦어졌기 때문에 접촉자가 너무 많았었던 상태였고요. 그러니까 당연히 넓게 퍼질 수밖에 없었는데 이번의 경우는 환자가 심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상대적으로 빨리 진단이 된 편이기 때문에 지금 접촉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좀 어느 정도 관리가 되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번 경우에 추가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 또 추가로 번질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은 이분이 비행기를 타고 공항과 택시를 거쳐서 삼성서울병원으로 오셔서 진단을 받게 되셨는데 일단 삼성서울병원부터는 음압진료실에서 진료를 보신 상태라서 거기서부터는 추가 감염자가 나오기 어렵고요. 그 이전에 비행기, 공항, 택시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혹시 이분이 호흡기 증상이 있어서 바이러스를 배출했다라고 했을 때 밀접하게 접촉하신 분들은 어느 정도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 잘 관리를 한다고 그러면 추가 감염자가 그렇게 많이 나오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초기대응에서 문제는 없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. 이번 환자의 경우 공항에서 별다른 조치 없이 바로 입국을 했는데 공항에서는 메르스 의심환자를 다 걸러내기가 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91016175513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