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년여 전에 일어난 강릉 석란정 화재를 기억하십니까? <br /> <br />당시 소방관 두 명이 목숨을 잃으면서 소방관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 주목받는 계기가 됐는데요, <br /> <br />그런데 화재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결론에도 불구하고 '방화'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D&A 팀이 당시 작성된 보고서를 바탕으로 사건을 역추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포호 건너편 멀리서 하얀 연기가 피어오릅니다. <br /> <br />불꽃은 순식간에 정자 전체를 집어삼킵니다. <br /> <br />불은 금세 잡혔지만, 6시간 뒤 불씨가 되살아났고, 진압 과정에서 건물이 무너지면서 소방관 두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[동네 주민 : 불이 막 크게 나서 가게 안으로 들어오고 난리가 났었어요. (여기도 들어 왔었어요? 불이?) 그렇지. 바로 (정자) 옆에 있으니까. (주변에) 소나무가 다 탔잖아요. 봐봐요.] <br /> <br />현장에선 시너와 페인트 통이 발견됐지만, 관리인이 평소에 정자 안에 보관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사건은 미궁에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[정자 관리인 : 페인트칠하고 남으니까 버리기 아깝고 그러니까 다음에 쓰려고 넣어둔 거지. 시너는 한 통밖에 없었어. 시너는.] <br /> <br />1년 전쯤 불이 났던 바로 그 장소입니다. <br /> <br />시간이 흐르면서 잔해는 모두 다 치워졌고, 지금은 정자가 있었던 흔적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작성된 화재 조사 보고서를 통해 사건을 다시 들여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은 처음부터 방화를 의심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연성 액체가 스며들며 바닥 목재의 틈새가 집중적으로 타는 '틈새 연소 패턴'이 확인된 점을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지방을 봐도 위는 멀쩡하고 바닥이 탄 점도 이상하다고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방화를 의심할 만한 흔적이 여러 군데서 동시에 발견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례적으로 조사관을 다수 투입해 별도의 소방 화재 조사서를 3건이나 작성했는데, 하나같이 방화를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동석 / 당시 소방 화재 조사관 : 가연성 액체가 목재에 접착됐을 때 생기는 연소 패턴이 다수 발견됐기 때문에 그렇게 추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국과수는 이런 흔적만으로는 방화를 확신할 수 없다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벽이나 지붕에서 불똥이 떨어져 바닥이 타도 비슷한 흔적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추가 증거가 더 필요한데 건물이 완전히 무너져 판별할 수 없다며 "화재 원인을 모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102904170974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