야당 대표의 단식 농성으로 치달은 선거제도 개편 문제는 현재 '도농복합형 선거구'라는 새로운 복병을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도대체 '도농복합형'이라는 것이 뭐기에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 건지 당별 유·불리와 속내를 염혜원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6일 새해 예산안 합의 막판 여야는 사실 선거제도 개혁 문제에 어느 정도 공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바탕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동감하고 구체적인 개편 방안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 위임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자유한국당이 추가한 '도농복합형 선거구제'라는 문구 하나에 분위기는 180도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관영 /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: (민주당은) '그 합의문은 도저히 받을 수 없다'고 연락이 왔고, 한국당은 '도농복합형을 검토하는' 그 문구가 빠지면 합의할 수 없다고 했기 때문에 결국 결렬됐습니다.] <br /> <br />걸림돌이 된 도농복합형 선거구제는 도시 지역은 지역구를 통합해 여러 명의 의원을 뽑는 중·대선거구제로 바꾸고, 농어촌 지역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는 방안입니다. <br /> <br />만약 선거제도를 이렇게 바꾸면 한국당이 유리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강세 지역이자 의석수가 많은 영남지역에서는 현재 표를 유지하고, 도시에서는 민주당에 이어 2등으로 의석을 따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다음 총선에서 한국당과의 격차를 최대한 벌리려는 민주당 입장에선 절대 받을 수 없는 안이 되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자유한국당이 도농복합형 선거제도를 논의하자고 하는데 그것은 저희가 참 수용하기 어렵습니다.…세계적으로도 그런 경우가 없고.] <br /> <br /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: 자유한국당 입장에서는 지금 300명 의원 정수 속에서 국민의 대표성과 비례성 강화하는 방안 찾자고….] <br /> <br />사실 민주당으로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공감한다는 것만으로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구 의원 수 줄이기나 국회의원 총수를 늘리는 것 모두 난관이 많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더군다나 야 3당은 결자해지라며 여당이 총대를 매고 나서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손학규 / 바른미래당 대표 : 이 대표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우리가 좀 손해 보더라도 해야겠다.…확실하게 선거법 개정을 한다고 하는 걸 보여줘야죠.] <br /> <br />[정동영 / 민주평화당 대표 : 문재인 대통령 의지를 확인하고 싶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1100143475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