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한일 갈등에 대한 언급을 이어가면서 역사에 대한 일본의 겸허한 자세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한일 강제 징용 배상 판결과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 정부의 태도에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베 일본 총리는 최근 작심한 듯 징용판결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강제 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의 자산 압류를 신청하자 매우 유감이라며 국제법 대응 등 조치를 검토하라고 지시한 겁니다. <br /> <br />아베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 확인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 : (지난해 11월 5일) : 1965년의 한일청구권협정에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정부의 화해치유재단 해산에 대해서도 일본은 국가 간 약속을 일방적으로 어기고 있다며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흐름 속에 최근엔 레이더 문제까지 불거지면서 한일 갈등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, 문재인 대통령이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과거 역사를 거론하며 일본은 더 겸허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이것은 한국 정부가 만들어 낸 문제들이 아닙니다 과거의 불행했던 역사 때문에 만들어지고 있는 문제입니다. 전 일본 정부가 거기에 대해서 좀더 겸허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나아가, 국제 여론전까지 나서고 있는 일본의 행보에 대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일본의 정치인들, 지도자들이 자꾸 그것을 정치 쟁점화 해서 문제를 더 논란거리로 만들고 확산시켜 나가는 것은 현명한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일본 정부가 일본 내 보수 우익 세력 결집 등을 위해 갈등을 키우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한일 민감 사안에 대해 원칙론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한일관계의 향방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세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11020063624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