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우조선해양이 20년 만에 산업은행의 품을 떠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새 주인으로는 현대중공업이 유력한데요. <br /> <br />세계 조선 시장의 지각 변동이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978년 대우그룹이 옥포조선소를 인수해 설립한 대우조선공업! <br /> <br />하지만 2000년 대우그룹의 해체로 독립했고, 이후 산업은행의 관리를 받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업황 악화와 매각 무산, 분식회계 사태 등을 겪으면서도, 세계 2위 자리를 지켜온 대우조선해양이 이번에는 민영화의 길로 들어서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은행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한 조건부 양해각서를 체결한 겁니다. <br /> <br />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이 지주회사 격인 조선통합법인을 만든 뒤, 산업은행이 법인으로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 55.7%를 넘기는 형태입니다. <br /> <br />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수평 관계로 통합 법인의 자회사가 됩니다. <br /> <br />대신 산업은행은 유상증자 등의 방법으로 대우조선에 최대 2조 5천억 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이동걸 / 산업은행 회장 : '빅 3' 체제하의 과당 경쟁과 중복 투자 등의 비효율을 제거하고, '빅 2' 체제로의 조선산업 재편 추진 병행이 필요했습니다.] <br /> <br />산업은행은 삼성중공업에도 인수 의향을 물어보고 논의한다는 계획이지만, 일단 그동안 협상을 진행해 온 현대중공업의 인수가 유력하게 점쳐집니다. <br /> <br />이번 매각이 성사되면 산업은행은 자금 투입 부담에서 벗어나게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대우조선해양에 쏟아부은 공적자금만 무려 10조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조선업의 지각 변동도 이어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수주잔량 기준으로 세계 1위인 현대중공업이 2위인 대우조선해양이 합쳐지는 만큼, 점유율이 20%가 넘는 압도적인 1위 기업이 탄생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인력 구조조정 우려 등으로 두 회사 노조가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것에 더해, 전 세계 곳곳에서 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는 점은 인수 과정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13122000098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