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비용항공사, LCC는 국제선 여객 점유율이 30%가량 차지할 정도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 6곳의 저비용항공사에 더해 이번에 신규로 3곳이 선정되면서 9곳으로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입장에서야 항공사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, 저가 출혈 경쟁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현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저비용항공사가 기존 6곳에서 9곳으로 3곳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, 5곳이 신규 항공운송면허 신청서를 접수했고, 사업 타당성 등에 대한 심사를 거친 뒤 최종 3곳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'플라이 강원'은 강원도 양양공항을, '에어 프레미아'는 인천공항, 에어로케이 항공은 청주공항을 각각 기반으로 노선 취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업계획서를 낸 나머지 2곳은 면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규 항공사들은 1년 이내에 운항증명을 신청해야 하고, 2년 안에 취항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진현환 /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 : 지방 공항 활성화나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모(母)기지, 그러니까 베이스 기지를 한다고 해놓고, 거점 공항을 바꾸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3년 동안 당초 본인들이 제시한 거점 공항 유지 의무를 부여하고….] <br /> <br />저비용 항공사가 늘어나면서 그만큼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확대되고, 지역 공항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저가 출혈 경쟁에 대한 우려와 함께 공항 활주로의 1시간 기준 이착륙 횟수, 즉 슬롯 포화상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상당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취항 초기 3~5년 동안 적자를 버티면서 인지도와 마케팅 능력을 확보한 기존 저비용항공사의 벽을 넘지 못하면 도태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30519392812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