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남북 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한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추가 대북 제재 중지를 명령했다고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과 미국에서 혼란스러운 움직임이 연속해서 나오고 있지만, 양측 정상 간 신뢰가 지속되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북한과 미국에서 긍정적인 신호와 부정적인 신호가 동시에 나오는 양상이 3주일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노이 회담 직후 북한은 리용호 외무상 기자회견에서 미국에 결렬 책임을 전가했지만, 내부적으로는 하노이 회담이 성과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평양 기자회견에서 비핵화 협상 중단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모호한 표현을 사용했지만, 북·미 양측 정상 간 신뢰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게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선희 / 북한 외무성 부상 (3월 15일) : 명백히 하건대 지금과 같은 미국의 강도적 입장은 사태를 분명 위험하게 만들 것입니다. 우리 최고 지도부가 곧 자기 결심을 명백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이중 메시지가 나오는 것은 미국에서도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노이 회담 직후 북한의 비핵화 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하면서도 거의 동시에 한미 연합 군사 훈련 축소를 발표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재무부가 대북 제재를 추가하는 조치를 취했지만,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제재를 중지시키는 명령을 내렸다면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 국면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폼페이오 / 미 국무부 장관 (3월 16일) : 최선희 부상은 확실히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 대화를 계속하겠다는 것이 트럼프 정부의 바람입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북한과 미국에서 이중 메시지가 계속 나오는 것은 양쪽 모두 비핵화 협상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정치 차원의 부정적 여론을 무마하면서 협상 분위기를 개선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중적인 메시지는 불투명성을 확대하고, 혼란을 가중하면서 강경 기조를 확산하는 부작용을 안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북·미 간 비핵화 협상이 톱다운 방식, 즉 최고 지도자가 나서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만큼 두 정상 간 신뢰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대화 재개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요소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32405042137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