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법과 사법개혁법안 패스트트랙을 지정을 놓고 국회가 충돌했습니다. <br /> <br />7년 동안 잠자던 동물국회가 깨어났다는 비판이 곳곳에서 나옵니다. <br /> <br />여론은 동물국회 상황을 누구의 책임으로 판단하고 있는지, YTN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자유한국당의 물리력 행사 때문이라는 응답이 43.8%로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무리하게 추진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겼다는 인식은 33.1%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공동 책임이라는 응답도 16.5%였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패스트트랙 합의안 추인과 특위 위원 교체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을 드러낸 바른미래당 상황은 이번 사태의 원인과 크게 상관이 없는 것으로 인식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우 민감한 사안인만큼 지지 정당별로, 정치 성향별로 결집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 지지층은 80% 이상이 한국당 책임이라고 응답했고 한국당 지지층 역시 대다수가 민주당 책임이라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공동책임이라는 응답은 두 당 지지층 모두 10명 중 한 명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진보층과 보수층의 결집도에는 차이가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진보층은 70% 이상이 한국당 책임을 꼽아 견고한 여론을 보인 반면 보수층의 민주당 책임 응답은 절반이 조금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공동 책임이라는 응답도 진보층보다 보수층에서 다소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중도층은 38 대 36으로 한국당과 민주당의 책임을 거의 비슷하게 봤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다섯명 중 한명 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 중에서 전체 여론과 비슷한 흐름이 나타난 곳은 수도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당의 물리력 행사로 인해 동물국회가 됐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45.2%, 민주당의 무리한 추진이 원인이라고 보는 비율은 31.7%였습니다. <br /> <br />연령별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한국당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40대는 60% 이상이었고 보수화 경향이 강하다는 20대에서도 40% 이상이 한국당 책임이라도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반적으로 봤을 땐 한국당 책임론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물리 충돌이 발생했던 지난주 목요일과 금요일,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도는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당 지지도 역시 등락이 교차했지만 정부 여당이 지게 되는 정치적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해결 없이 이 상황이 길어지는 것 또한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결단의 시간은 이미 다다랐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2913410839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