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HO, 세계보건기구가 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총회에서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의료계는 WHO의 권고를 받아들여 게임 중독을 보건 의료체계에서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게임 업계는 낙인 효과와 산업 위축을 우려하며 반발해 찬반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재 총회를 열고 있는 세계보건기구 WHO가 게임 중독을 질병 코드에 넣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과는 논의 후 총회 마지막 날인 28일 결의안과 보고서를 낼 때 나올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게임 중독의 질병 코드 도입이 결정되면 게임 중독은 질병으로 규정됩니다. <br /> <br />알코올 중독처럼 정식 병명이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앞서 WHO는 게임 중독에 대한 진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제 불능, 문제가 있는데도 계속하는 것, 일상활동에 우선시 되는 것 등 도박 중독과 같은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게임 업계나 학계는 이 점을 지적하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위정현 / 중앙대 교수 , 게임학회장 : 5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충분한 연구가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하게 서두른 느낌이 있습니다. 불충분한 연구와 치료법에 대한 질병코드에 대한 규정, 정의 등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우려합니다.] <br /> <br />정신건강의학계는 게임 때문에 일상생활이 파괴될 정도라면 치료받을 질병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이해국 /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처음엔 사회적 이슈로 접근합니다. 그런데 사회적 이슈로, 제도적으로 접근하다 보니 해결이 안 되는 거예요. 공중 보건에서 디지털 시대의 건강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고.] <br /> <br />현재 게임 중독의 질병코드 도입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게임 업계와 학회 등은 공동대책위를 구성해 29일부터 국내 도입 반대 행동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각국 게임 단체들도 게임 산업 위축을 우려하며 WHO에 반대성명을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질병 표준 분류 기준은 질병의 종류와 신체 손상 정도를 명시한 것으로 나라별로 관련 정책을 세울 것을 권고합니다. <br /> <br />질병코드 도입이 결정되면 시행 시기는 2022년으로 권고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우리나라에선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넣을지 결정 과정을 더 거쳐야 해 진통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2422255986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