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이른바 제3국 중재위원회를 구성하자며 일방적으로 정한 시한이 모레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가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밝혔는데, 일본이 추가 보복에 나설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19일 일본 정부는 강제 징용 배상 판결을 논의하기 위한 제3국 중재위원회 구성을 우리 정부에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일방적으로 정한 답변 시한은 한 달, 오는 18일까지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이와 관련해 제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서 변화가 전혀 없다며 명쾌하게 수용 불가 결론이 났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시한으로 정한 18일까지 특별한 답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차원에서 명확한 수용 불가 의사를 밝힌 것은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이런 분위기와 관계없이 제3국 중재위 수용을 다시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 (오늘) : (한일청구권) 협정의 의무인 중재위에 응하도록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. 그런 입장에는 변화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일본은 한국 정부가 제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한일 청구권 협정 위반이라고 주장하면서 국제사법재판소 제소를 포함한 추가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 소재 등에 대한 수출 규제에 이어 일부 농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, 나아가 금융 규제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게 될 경우 우리 정부의 상응 조치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(지난 8일) : 한국의 기업들에게 피해가 실제적으로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필요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일본의 추가 보복으로 갈등이 격화되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자동 연장 같은 안보 사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관계자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문제가 이른 시일 내에 풀리길 바란다면서 일본에 외교의 장으로 나오라고 다시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7162057283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