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지난달 31에 이어 어제 또다시 신형 방사포를 시험 사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에도 우리 군 당국은 이미 밝힌 것처럼 단거리 탄도미사일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2일 새벽 쏘아 올린 발사체 사진을 또다시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궤도형 이동식 발사대가 선명하게 보이고, 발사관은 6개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발사체의 몸통도 기존의 방사포와 모양이 유사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부분적으로 모자이크 처리가 돼 있지만, 앞서 지난달 31일 공개한 발사체와 관련해 한미 군 당국이 사진조작설까지 제기한 것을 의식한 듯 보다 훨씬 선명합니다. <br /> <br />지도에 나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모습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사격으로 고도 억제 비행성능, 궤도 변경, 정확성, 위력 등에서 만족스런 결과가 확인됐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동식 발사대의 전투전개 시간, 다시 말해 진지 속에 숨어 있던 이동식 발사대가 밖으로 나와 실제 발사한 뒤 재빨리 진지 속으로 숨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으로선 한미 전폭기와 지대지 미사일 등으로부터 보호하려면 이 시간을 단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남한 정부를 향해서는 별도의 언급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우리 군과 한미 정보 당국은 지난달 31일 때와 마찬가지로, 이번 발사 역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가능성에 여전히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2일 발사한 북한의 발사체 속도를 마하 6.9로 평가했는데, 방사포라고 보기에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단거리 탄도미사일인 러시아 이스칸다르의 속도 6.4 보다 오히려 빠릅니다. <br /> <br />군은 북한이 이번에 공개한 사진에 대해서도 정밀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기존 평가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발사체의 정체를 놓고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세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031337270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