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갈등은 지난 7월 1일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로 표면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무역 분쟁은 결국, 한일 간의 유일한 안보 분야 협정인 군사정보보호협정 '지소미아(GISOMIA)' 종료로 이어졌는데요. <br /> <br />숨 가빴던 지난 53일간의 일정을 강정규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말부터 '초계기 갈등'으로 삐걱거리던 한일 관계는 올해 7월 1일 무역 분쟁으로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반도체 분야 핵심 품목 3개의 한국 수출에 대한 통제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0월 우리 대법원의 강제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사실상의 경제 보복 조치였습니다. <br /> <br /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 (7월 3일) : 상대 국가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 상황에서는 지금까지의 우대 조치는 취할 수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우리는 일본에 수출 규제 철회를 요구하는 동시에 여러 경로를 통해 외교적 해법을 모색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 무역 기구 WTO 이사회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이번 조치의 부당함을 알리거나, 미국의 중재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민간 차원에서는 일본 상품 불매 운동도 펼쳐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일본은 1달 만에 800여 개 품목에 대한 추가 수출 규제 조치를 강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를 일본의 수출심사 우대국 이른바 '화이트 리스트'에서 끝내 배제한 겁니다. <br /> <br />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'지소미아(GISOMIA)' 종료 카드가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한 건 이때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도 일본을 수출 우대국에서 제외하고 그동안 미뤄뒀던 독도 방어 훈련을 재개하는 등의 다양한 맞대응 방안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 2일) : 가해자인 일본이 적반하장으로 오히려 큰소리치는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습니다.] <br /> <br />양국은 한중일 외교 장관 회의를 계기로 어렵게 마주 앉았지만, 결국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막판까지 고심을 거듭하던 정부는 우리의 모든 외교적 노력을 일본이 거부했다며 협정 연장 시한을 이틀 앞두고 '지소미아' 종료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2302113358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