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천5백여 명의 피해자, 천4백여 명의 사망자를 낸 이른바 가습기 살균제 참사. <br /> <br />8년 만에 제조·판매 기업 관계자들과 전·현직 관료들을 상대로 청문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습기 살균제 원료를 공급한 SK케미칼과 제품을 판매한 애경을 상대로 유해성 부실 검증에 대한 경위 추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청문회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YTN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차유정 기자! <br /> <br />가습기 살균제 문제가 세상에 밝혀진 게 2011년인데 청문회가 왜 지금에야 열리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8년 만에 청문회가 열리는 건데요. <br /> <br />가습기 살균제 성분도 여러 가지인데 일부 성분 유해성이 뒤늦게 규명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으로 CMIT-MIT라는 성분인데요. <br /> <br />유해성이 뒤늦게 입증돼 이를 원료로 살균제를 만들고 판매한 기업인 SK와 애경의 과실도 최근에야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SK와 애경 전 현직 관계자들을 상대로 제조 판매 과정에서 안전성 검증을 왜 제대로 안 한 건지 추궁이 한창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에는 정부 책임을 묻습니다. <br /> <br />유해물질 관리를 맡는 부서가 환경부인데요. <br /> <br />어찌해서 뒤늦게 유해성이 규명된 CMIT-MIT에 대한 유해성 심사를 안 해왔던 건지 <br /> <br />공정위는 지난 2016년 이들 기업을 허위 광고 혐의로 고발할 수 있었음에도 지체해 공소시효를 넘기게 된 경위가 뭔지 따져 물을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핵심은 SK와 애경의 책임을 묻는 것일 텐데요. <br /> <br />지금 어떤 얘기가 오가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전 10시 반부터 SK케미칼과 애경 등을 상대로 한 청문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SK케미칼, 당시 유공은 문제가 된 살균제 원료를 처음 개발한 공급업쳅니다. <br /> <br />SK케미칼에서 유해성 심사를 제대로 안 했다는 사실은 앞서 검찰 조사를 통해 드러나긴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해성 실험을 의뢰는 했지만, 결과를 받기 전에 판매하고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뒤늦게 나왔는데도 무시하고 계속 팔았던 겁니다. <br /> <br />오늘 청문회에선 당시 제품 개발에 참여했던 유공 관계자들과 SK케미칼 간부들이 출석했고 이 같은 사실을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유해성 심사를 직접 했던 연구팀 교수도 나왔는데 본인은 그 제품이 미리 팔릴지 몰랐다고 답변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 밖에 새로 드러난 사실이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외에도 검찰 수사에 대비하기 위해 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8271205096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