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천5백여 명의 피해자, 이 가운데 천4백여 명의 사망자를 낸 이른바 가습기 살균제 참사. <br /> <br />8년 만에 제조·판매 기업 관계자들과 전·현직 관료들을 상대로 청문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전에는 SK케미칼 등 기업을 상대로 추궁이 이어졌고, 오후에는 공정위와 환경부 등에 대한 질의가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YTN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이경국 기자! <br /> <br />오후에도 청문회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, 어떤 내용이 다뤄지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후 2시부터 공정거래위원회와 환경부를 상대로 한 청문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하고 판매한 기업들의 표시·광고법 위반 사건이 적절히 처리됐는지 추궁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SK케미칼과 애경 등은 살균제에 '안전한 성분, 안전한 제품'이라는 내용을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공정위는 살균제 문제가 불거진 직후인 2012년 초, 이 제품에 쓰인 CMIT-MIT 성분의 유해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며 무혐의 처분했습니다. <br /> <br />4년여 뒤 다시 조사에 나섰지만, 유해성을 연구 중이라는 이유로 또다시 심의를 종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재조사 끝에 지난해 공정위가 이들 기업에 과징금 납부 등을 명령했지만, <br /> <br />기업들이 처분 시한이 지났다며 취소 청구 소송을 냈고, 공정위는 실제 잇따라 패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청문회에서는 실제 피해자까지 있었지만,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기업에 사실상 면죄부를 줬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2016년의 경우 환경부가 사실상 CMIT 성분의 유해성을 인정했는데도, 공정위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1년 애경의 내부 대응팀에 공정위 관계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포함돼있었고, 2016년에도 공정위 사건 담당자가 공정위 출신 기업 관계자를 잇달아 만났다는 '유착 의혹'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오전엔 기업 관계자들을 상대로도 청문회가 진행됐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SK케미칼과 애경 등 기업을 상대로 청문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SK케미칼, 당시 유공은 문제가 된 살균제 원료를 처음 개발한 공급업쳅니다. <br /> <br />SK케미칼에서 유해성 심사를 제대로 안 했다는 사실은 앞서 검찰 조사를 통해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유해성 실험을 의뢰는 했지만, 결과를 받기 전 제품을 팔고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뒤늦게 나왔는데도 무시했던 겁니다. <br /> <br />오늘 청문회에선 유공과 SK케미칼 관계자들이 출석해 이 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82716125478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