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의 반도체 소재 등 3대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가 만 2개월을 넘겼지만, 아직 이로 인한 관련 산업의 생산 차질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지난달 28일 시행된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는 아직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국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박병한 기자! <br /> <br />다행히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우리 산업계는 별다른 차질이 없다고 하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이 지난 7월 4일 스마트폰과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, 포토 레지스트, 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제한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3개 품목의 수입이 한동안 막혔다가 지난 8월 7일과 19일에 포토 레지스트 수출이 두차례 허용됐고 8월 29일에는 고순도 불화수소 1건이 수출 허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3개 품목 중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만 아직 수출 허가가 나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최근 주목받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되는데 삼성전자의 폴더블 폰 등이 이 소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 6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유럽 최대 IT 전시회인 '이파'에서 삼성전자가 첫 폴더블 폰인 '갤럭시 폴드'를 공개한 데서 보듯이 삼성전자의 생산에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LG디스플레이도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고순도 불화수소를 국내 업체 솔브레인사 제품으로 대체해 시험해 본 결과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양산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행이군요. 하지만 지난 8월 28일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한 데 대한 피해는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군용과 민간용 등 이중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전략물자의 경우 백색국가는 여러 건의 품목을 일괄 허가를 받아 짧은 기간 내 수출이 가능한 포괄허가를 받을 수 있지만, 백색국가에서 제외되면 품목별로 일일이 일본 경제산업성의 개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지난 7월 수출 규제가 발표된 3개 품목은 무조건 개별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한국으로의 수출이 금지된 건 아니지만 3건이 수출 허가를 받은 구체적인 이유를 알 수 없고 다른 품목 또한 언제 허가를 받을 수 있을지 몰라 우리 기업들은 계속 일본 측의 호의에 기대해야 하는 불리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일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90810494609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