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우디아라비아 최대 석유시설과 유전이 예멘 반군의 무인기 공격을 받으면서 사우디 전체 산유량의 절반이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국제 원유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통화를 하고 확고한 대응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사우디의 핵심 석유시설이 공격을 받았는데, 타격 규모가 어느 정도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공격으로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 전체 원유 생산량의 절반이 지장을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전 사우디 정부의 공식 발표가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장관은 하루 평균 570만 배럴의 원유 생산이 차질을 빚게 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전 세계 원유 공급량의 5%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무인기 공격을 받은 곳은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요 시설 두 곳입니다. <br /> <br />원유를 탈황·정제하는 '아브카이크' 단지와 '쿠라이스' 유전인데요. <br /> <br />'아브카이크'는 단일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사우디 정부는 이 두 시설의 가동을 당분간 중단하고, 비축된 원유로 보충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비축유로 메운다고 해도 국제 원유시장의 수급 불안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당장 국제유가가 크게 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우디의 전통적인 우방으로 꼽히는 미국은 어떤 입장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전화통화를 하고 사안을 논의했는데요. <br /> <br />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의 자위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"미국은 중대한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"는 입장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이어 "국제 경제에 필수적인 인프라와 민간영역에 대한 폭력적 행위는 갈등과 불신을 심화시킬 뿐"이라며, "미국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며 국제 원유시장의 안전 보장에 전념하고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트위터를 통해, 이번 공격이 예멘에서 비롯됐다는 증거가 없다며 이란을 배후로 지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이란을 공개적으로 명백하게 규탄할 것을 모든 국가에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예멘 반군이 자신들의 소행임을 자처했지만, 사실상 이란의 지원을 받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91513030970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