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, 6월 9일 '송환법' 반대 100만 명 시위 <br />최대 200만 명 행진…주말마다 폭력 시위 반복 <br />시위대, '5대 요구' 주장…민주화 시위로 확대 <br />中 "홍콩 통제 강화, 직접 개입"…美와도 마찰<br /><br /> <br />홍콩 시위사태는 지난 6월 첫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지 꼭 6개월째를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사태를 촉발한 송환법은 철회가 됐지만 핵심적인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장기화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6월 9일, 홍콩 시민 100만 명이 거리로 몰려나와 '송환법' 반대를 외쳤습니다. <br /> <br />법이 만들어지면 홍콩의 반체제 인사가 중국으로 송환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1주일 뒤 시위 참가자는 주최 측 추산 200만 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위는 폭력 양상으로 번졌고 홍콩 정부는 결국 송환법의 완전 철회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캐리 람 / 홍콩 행정장관 (9월 4일) : 홍콩 특구 정부는 공식적으로 (송환)법안을 철회하고 시민들의 근심을 해소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위대는 경찰 진압에 대한 조사와 행정장관 직선 제를 포함한 5대 요구의 관철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 정부는 거부했고, 중앙 정부인 중국은 군대 투입까지 경고하며 단호하게 맞섰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결국 이공대 봉쇄를 통해 천 명 이상을 체포하면서 게릴라식 폭력 시위를 가라앉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달 구의원 선거에서 홍콩인들은 시위 대를 지지한 범민주 진영에 압승을 가져다줬습니다. <br /> <br />[캘빈 람 / 구의원 당선자 (지난달 25일) : 이번 선거는 하나의 국민투표 성격일 뿐 아니라 홍콩과 중국 정부에 보내는 강력한 신호이기도 합니다.] <br /> <br />범민주 진영은 5대 요구 완전 수용을 거듭 촉구하고 있지만 홍콩 정부는 거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도 홍콩에 대한 통제 강화를 내세우며 개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미국의 홍콩인권법 제정으로 미중 마찰로 까지 확대하면서 사태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20822164275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