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P "국무·국방장관 韓방위비 압박 기고" 비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 방위비 협상과 관련해 지난주 미 국무장관과 국방장관이 신문 공동기고를 통해 한국의 증액을 압박했었는데요.<br /><br />미국 워싱턴포스트는 "신문에 공개적으로 할 이야기가 아니"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의 '강압적 외교정책'의 한 단면을 드러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워싱턴포스트는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에스퍼 국방장관이 지난주 신문 공동 기고를 통해 한국의 방위비 증액을 압박한 데 대해 "신문에 쓸 이야기는 아니"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19일 트럼프 대통령의 '강압적 외교정책'을 비판하며 두 장관의 기고를 거론한 뒤 "막후에서 나눌 법한 대화"라며 이같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외교 안보정책의 '투 톱'인 폼페이오-에스퍼 장관은 지난 16일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를 통해 "한국은 미국의 부양 대상이 아니라"며 방위비 증액을 노골적으로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며칠 전에 말했듯이 한국은 부유한 나라 입니다. 그들은 더 많이 기여할 수 있고 기여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미 국익연구소 해리 카지아니스 국장은 "트럼프 대통령은 왜 동맹들이 존재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"며 이른바 '위험한 결여'를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유럽의 군사동맹인 '나토' 회원국의 방위비 압박과 탈퇴 시사, 유럽산 자동차 관세 부과위협 등도 트럼프 대통령의 '강압적인 외교정책'으로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단기적으로는 승리를 안길 수 있지만 이러한 접근은 미국을 보다 더 고립시킬 수 있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보호해주는, 돈은 내지 않는 다른 나라들에서 1천 300억 달러를 받을 책임이 나토에 있습니다. 우리는 그에 관해 얘기할 것 입니다."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"트럼프 행정부의 '과격한 접근'은 우방국과 적국 모두에게 적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후퇴할 계획은 없다는 점도 분명히 하고 있다"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