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한일관계와 관련해, 우리나라에 있는 일본 기업의 현금화 조치를 전후로 협상 전략이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한일 국장급 협의가 열렸는데 여기서도 강제징용 해법 논의는 평행선을 달렸습니다. <br /> <br />장아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8년 10월 30일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, <br /> <br />2019년 7월 1일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, <br /> <br />2019년 8월 22일 청와대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 종료 결정. <br /> <br />정부가 종료 1시간 전에 유예를 선언하며 파국을 막았지만, 꼬리에 꼬리를 물며 증폭된 한일 갈등은 올해도 해결의 기미가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코앞에 닥친 우리 사법부의 일본제철, 후지코시, 미쓰비시 자산 현금화 조치가 발화점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행정부가 임의로 사법부의 자산 현금화 시점을 미룰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현금화 시점이 결국은 관건이 되겠습니다만, 현금화와 관련해선 정부로서는 그것도 사법절차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개입을 한다거나 그 시점을 예단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현금화 조치 이전과 이후의 한일 협상 전략은 분명히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아소 다로 일본 재무상은 현금화 조치가 이뤄진다면 금융·무역 제재로 한국 경제가 피폐해질 것이라고 엄포성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강 장관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부당하고 자의적이어서 추가로 이런 조치를 취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지소미아 카드를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고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지소미아 종료 결정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잠정적으로 정지를 시켜놓은 상황입니다. 그리고 우리는 이것을 언제든지 종료 효과를 재가동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한 달에 한 번 열리는 한일 국장급 협의는 이번에도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끝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 외교 장관은 다음 주 독일 뮌헨에서 만나 '문희상 안'과 한일 변호사가 제안한 '민간 협의체' 등, 강제징용 해법을 두루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[jay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20621034444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