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지역전파 최소화' 선회…검사기관 확대·보건의 전환배치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국 곳곳에서 '코로나19' 확진자 수가 크게 늘면서, 정부가 방역체계 개편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의 해외유입 봉쇄 중심에서 지역사회 감염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무게 추를 옮기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승국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코로나19' 확산 속도가 빨리지자 보건당국이 방역 체계를 개편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기존의 해외 유입 차단 노력도 계속할 필요가 있지만, 지역사회 감염 최소화를 신경쓰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지역사회 전파에 대처하기 위한 방역 대응 체계를 병행하여 구축할 것으로, 이를 통해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신속한 진단을 위해 검체 채취가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현재 559곳에서 더 늘리고, 46곳인 진단 검사기관도 77곳까지 확대합니다.<br /><br />검사 인력이 부족한 지역은 공중보건의를 전환 배치할 계획인데, 우선 대구에 24명이 투입됐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 근로자 밀집 지역처럼 코로나19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는 이동 진료소를 운영하고, 이동 검체 채취팀도 꾸려 중증 장애인이나 노인 등을 대상으로 방문 검사를 진행합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선 방역체계 확대도 필요하지만, 개개인의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대구처럼 어느 정도 유행이 시작된 지역 같은 경우에는 호흡기 증상 또는 발열 증상이 있는 분들은 아예 집에서 머물러 주셔야 되고요. 그리고 1339 연락해서 검사가 가능한 기관을 방문해서 검사를 하고…"<br /><br />만약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돼 검진을 받고 대기 중인 경우라면, 집 안에서도 마스크를 쓰고 가족들과 다른 방에 머물러야 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