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재윤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수현 기자 <br /> <br /> <br />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의 해산을 추진하면서,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에서는 영국 내 코로나19 사망자가 이탈리아를 넘어,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나라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새로 나온 미국 쪽 통계부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23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2만 명대로 집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시각 현재, 미국 내 누적 사망자는 7만2천여 명인데요. <br /> <br />하루 동안 2천여 명 증가한 겁니다. <br /> <br />최대 감염 지역인 뉴욕주의 확진자가 33만 명, 사망자는 2만5천여 명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근 백악관의 코로나19 TF 브리핑이 더 뜸해졌는데,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직 명확한 배경은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, 지난주 초부터는 아예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의 '살균제 발언' 이후 거센 역풍에 직면한 게 하나의 계기가 되지 않았나 싶은데요. <br /> <br />현재 백악관 TF 해산이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TF를 총괄하는 펜스 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,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늦추고 발병 곡선을 편평하게 함으로써 TF는 목표를 달성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모든 지역이 위기를 벗어나진 않았지만, 필요로 하는 자원을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펜스 부통령은 주별로 경제 활동을 재개함에 따라 TF를 점진적으로 해산하는 데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연방재난관리청, FEMA로 업무를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건데요. <br /> <br />해산 시기를 논의 중이라며, 이달 말이나 6월 초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아직 아무것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, TF 해산 추진 움직임이 너무 성급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전히 많은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어, 대규모 재확산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, 한 달여 만에 워싱턴을 떠났습니다. <br /> <br />애리조나 주 피닉스에 있는 마스크 제조 공장 방문을 시작으로 대외 일정을 재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방면으로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데, 피해가 가장 큰 뉴욕주에서는 구체적인 정상화 조건이 제시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앤드루 쿠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0609181100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