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재윤 앵커, 이승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수현 국제부 기자 <br />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인해 미국의 실업 대란이 심화하는 가운데, 대부분 주가 다음 주초까지 부분적인 경제 활동 재개에 시동을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유럽 각국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과 함께 등장한 어린이 염증성 질환 환자가 속출하면서, 또 다른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미국 거의 전역에서 경제 재가동 움직임이 본격화한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번 주말과 다음 주초를 거쳐, 미국의 대부분 주가 부분적인 경제 활동 재개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현재까지 50개 주 가운데 48개 주가 관련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가 가장 큰 뉴욕 주의 경우 주 당국이 분류한 10개 지역 가운데 5개 지역이 내일부터 건설업 등에 대해 영업 재개에 착수하는데요. <br /> <br />뉴욕 주내에서도 코로나19 상황이 가장 심각한 뉴욕시와 주변 지역은 아직 경제 활동 재개 대상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경제 재가동 계획을 발표하지 않은 주는 코네티컷과 매사추세츠인데요. <br /> <br />이들 주는 자택대기령과 휴업령 등의 조치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는 지금 대규모 실업 사태가 8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을 청구한 근로자가 298만여 명이었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8주 동안 모두 3천6백만 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부터 경제 활동이 속속 재개되면서 실업 문제도 좀 해소됐으면 하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일상 복귀 움직임이 한창인 가운데, 확진자 증가 폭은 감소한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은 연방정부의 공식 통계가 발표되지 않아서, 월드오미터와 존스홉킨스대학 통계를 주로 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집계를 정리해보면, 24개 주에서 하루 신규 확진자가 대체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또, 17개 주는 보합세를 보였고, 9개 주는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50개 주를 종합하면 일일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2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월드오미터의 실시간 집계를 보면요. <br /> <br />오늘은 오전 9시 현재까지 신규 확진자가 2만5천여 명 늘었고, 사망자는 천6백여 명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미국 전체 누적 확진자는 145만 명, 사망자는 8만6천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코로나19 뿐 아니라, '어린이 염증성 질환' 공포도 커지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1509215234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