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·중, 화웨이 놓고 2차전…삼성·SK도 '촉각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이 중국의 대표 정보통신기술 기업 화웨이에 대한 추가 제재로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선 차단에 나섰죠.<br /><br />안 그래도 코로나 사태로 위축된 세계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되는데요.<br /><br />문제는 우리 반도체 산업도 그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는데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 화웨이 제재 핵심은 미국 아닌 제3국 반도체 기업들도 미국 기술을 활용했다면 화웨이에 제품을 팔 때 미국의 허가를 받으라는 겁니다.<br /><br />제재가 실행되면 통신장비 세계 1위, 스마트폰 2위인 화웨이는 미국이 주도권을 쥔 데이터 처리용 비메모리 반도체를 제대로 쓰기 어려워집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력이자 화웨이 제품에도 대량 소요되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반도체는 다행히 미국의 칼날을 일단 피한 셈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미국의 의도대로 화웨이가 경쟁력을 상실한다면 문제는 간단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화웨이 완제품에 들어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수요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단기적으론 부정적 영향은 없을 것 같고요. 화웨이의 수출이라던가 그런 쪽이 막히면 간접적인 파급효과로 우리 기업들도 부정적인 영향이…"<br /><br />여기에 해외에서 제품을 생산해 화웨이에 공급해왔던 퀄컴,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타격이 불가피해 셈법은 더욱 복잡해집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중국 시안의 반도체 사업장을 찾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"거대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"며 "시간이 없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·중 무역갈등의 재개 우려 속 반도체 사업에 다시 한번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