석 달째 코로나 고용 충격…5월도 39만명 감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석 달째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에도 취업자가 39만 명 넘게 줄었고 실업률은 5월만 놓고 보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였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이 석 달째 지표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9만2,000명 줄어 석 달째 줄어든 겁니다.<br /><br />다만, 외환위기가 닥친 1999년 2월 이후 21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던 지난달보다는 감소세가 다소 주춤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는 서비스업 취업자가 33만 3,000명으로 줄어 4월보다 감소폭이 줄어든 대신, 제조업은 5만 7,000명 줄어 4월보다 감소폭이 1만 3,000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여파로 서비스업 경기는 다소 살아났지만, 수출 부진 등 영향으로 제조업 불황은 깊어지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9만 3,000명 늘었지만, 임시근로자는 50만 1,000명, 일용근로자는 15만 2,000명 각각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구직 의지가 없으면서 취업도 하지 않은 '비경제 활동인구'는 1년 전에 비해 55만 5,000명이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실업률도 4.5%로 지난해 5월에 비해 0.5% 포인트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역대 5월 수치로는 1999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입니다.<br /><br />실업률은 올해 2월부터 4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지난달에는 거의 전 연령층에서 실업률이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비교 기준인 15~64세 고용률은 지난달 보다는 0.7% 포인트 높아졌지만 지난해 5월보단 1.3% 포인트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계속되는 코로나 충격에서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직접 일자리를 만들고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할 계획이지만 수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일자리 충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