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2년 전 남북 핫라인 주역 윤건영 "김여정 대남사업 총괄 긍정적" / YTN

2020-06-10 2 Dailymotion

남북 정상 간 핫라인 개통 781일 만에 단절 <br />’신뢰 상징’ 핫라인 연결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 <br />윤건영 "북한, 남북 합의 불이행 불만 표출" <br />윤건영 "대북 전단 문제부터 확실히 해결해야"<br /><br /> <br />북한의 통신선 단절 조치로 주목받는 사람은 바로 2년 전 남북 정상 간 핫라인 개통의 주역인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인데요. <br /> <br />윤 의원은 YTN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조치를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도 핵심 실세인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 업무에 전면적으로 나선 건 그나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남북 정상 핫라인 개통 (시험 통화) : 여보세요? 잘 들리십니까? 여기는 서울 청와대입니다.] <br /> <br />남북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둔 지난 2018년 4월 20일, 역사상 처음으로 남북 정상 간 직통전화, 이른바 '핫라인'이 처음으로 개통됐습니다. <br /> <br />[윤건영 / 남북정상회담 준비위 종합상황실장 (지난 2018년 4월) : 전화연결은 매끄럽게 진행됐고 전화상태는 매우 좋았습니다. 마치 옆집에서 전화하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남북 관계 개선의 주요 성과로 꼽혔던 정상 간 핫라인이 781일 만에 끊겼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(어제) :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 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 통신 연락선을 완전 차단, 폐기하게 된다.] <br /> <br />남북 최고 권력기관 사이의 핫라인은 연결 자체만으로도 상징적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질적 권한을 가진 두 정상이 언제든 바로 통화할 수 있다는 건 남북 간 신뢰의 표시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박정희 정권 때인 1972년부터 핫라인 설치를 추진했지만 2018년에야 겨우 개통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자격으로 핫라인 설치를 현장에 있었던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북한의 통신선 단절 조치를 정상회담 합의 사항이 이행되지 않은 것에 대한 누적된 불만의 표출로 봤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밝혔던 대북 전단 문제부터 확실히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건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북한의 입장에서 볼 때는 대한민국 정부가 겉으로는 하자고 그러고 속으로는 할 생각이 없는 것 아니냐는 신뢰를 잃어버리는 그런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윤 의원은 최근 북한의 조치 과정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제1부부장이 전면에 나선 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최고 의사결정 체제 안에 있는 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1018443665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