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차 북미정상회담 2주년…美 "유연한 접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렸던 1차 북미정상회담이 오늘로 2주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는 북한과의 대화에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뜻을 거듭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남북 관계 진전도 언제나 지지해왔다고 덧붙였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북미, 남북 관계 모두 큰 진전없이 오히려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 국무부는 "싱가포르 정상회담의 모든 약속에 균형 잡힌 합의를 위해 유연한 접근법을 취할 의향이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8년 6월12일에 열렸던 1차 북미정상회담 2주년을 앞두고 내놓은 논평입니다.<br /><br />국무부 대변인은 또한 "북한의 더 밝은 미래를 실현할 수 있는 협상에 전념하고 있고, 제안은 여전히 테이블 위에 있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남북 통신 채널을 단절하고 위협 수위를 높이는 데는 거듭 "실망했다"는 표현을 동원하며 대화 재개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북한이 미국을 향해 "제 집안부터 정돈하라"는 비난 성명을 냈지만 여전히 대화 재개 의지를 확인하며 상황을 관리해 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6자회담 수석대표를 지낸 크리스토퍼 힐 전 차관보는 최근 북한의 한국 압박은 "한미 관계가 얼마나 견고한지를 시험하는 것"이라며 "실제로 어려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"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"미국이 입 밖에 내지 않은 위협은 방위비 협상이 결렬됐을 경우 한반도에서 미군 병력의 철수가 시작될 수 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트럼프 행정부는 동맹의 중요성에 대해 분명한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11월 대선까지 북한이 돌발 변수가 되지 않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바람이지만 북한이 고강도 무력시위에 나서며 재선 가도에 걸림돌이 될 경우 강력 대응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적지않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 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