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천여명 중 코로나 항체 1명뿐…"집단면역 불가능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방역당국은 그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지 않은 국민들 중 코로나19에 저항하는 항체를 가진 사람들의 비율을 조사해왔습니다.<br /><br />치료제 개발 전 집단면역이 가능한지 살펴보기 위해선데요.<br /><br />중간조사 결과, 표본 3,000여명 중 항체 보유자는 단 1명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어떤 의미인지 이진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사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,555명, 그리고 서울 서남권 병원 방문환자 1,500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중 중화항체, 그러니까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그 영향을 중화해 방어하는 항체를 가진 사람은 단 1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에 걸린 뒤 10일~14일이 지나면 항체가 생기는데, 항체가 없다는 건 걸린 적이 없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지역사회에 '무증상 감염자'가 상당수 있을 것이란 예상과 다른 결과입니다.<br /><br /> "도쿄가 굉장히 광범위하게 했는데 (항체보유율이) 0.1%, 오사카에서 조사했을 땐 0.17%의 양성율이 나왔는데, 우리는 그것의 3분의 1정도 나왔다는 것이거든요"<br /><br />유럽과 미국은 더 높아 영국 런던은 17%, 미국 뉴욕은 13.9%, 스웨덴 스톡홀롬은 7.3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감염이 적고 그만큼, 방역이 잘됐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동시에 항체를 가진 사람이 인구의 최소 30%는 돼야 코로나19 확산이 멈추거나 둔화하는 이른바 '집단면역'이 가능한데, 이런 식의 대응을 할 수 없단 뜻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 "백신이 개발되고 접종이 완료돼 지역사회에 충분한 방어 수준이 달성되기 전까지는 거리두기, 마스크 착용, 개인위생 준수와 같은…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이번 조사에 대구지역 표본이 포함되지 않아 대표성에 한계가 있다며, 지역별로 대상자를 늘려 조사를 보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