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지도급인사들 잇단 마스크 착용…뒤늦은 솔선수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발병 초기만해도 서구사회는 마스크 착용을 등한시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이 강조됐고, 세계 정상들은 뒤늦게 동참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 "나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습니다. 마스크 착용은 권고사항입니다. 건강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길 원치 않습니다."<br /><br />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국면에도 마스크 착용을 거부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미 질병통제예방센터, CDC가 마스크 착용에 대해 자발적 권고를 내린 지 100일 만에 입장이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 "마스크 착용에 반대해본 적이 없습니다. 때와 장소에 따라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봅니다."<br /><br />강력한 통제로 주춤했던 코로나19가 각 국의 경제정상화 조치 이후 재확산 조짐을 보이자 각 국 정상들이 마스크 착용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브라질 대통령의 경우 보건당국의 권고를 무시하며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사람들을 만나다가 코로나19에 감염됐고,<br /><br /> "(양성입니까)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"<br /><br />결국엔 마스크를 쓸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이외에 메르켈 독일 총리와 멕시코 대통령, 이란 최고 지도자 하메네이도 공식석상에 마스크를 쓴 모습이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초기 당국의 엇갈린 대응과 문화적 거부감이 맞물리며 마스크 착용에 대한 불신이 커졌던 측면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 정부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 장소를 늘리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국민들은 모든 장소에서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