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여 년 겉돈 서남해 해상풍력, 민관합의로 탄력 <br />’강한 해풍’ 발전원 해상풍력, 신재생에너지의 축 <br />민간에만 맡기지 않고 사업 초기부터 정부가 주도<br /><br /> <br />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해상풍력이 훌륭한 발전원으로 기대되지만 사업자와 주민의 깊은 갈등으로 사업이 오랫동안 표류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가 직접 나서 추진하기로 했는데요, 적합부지 발굴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사업을 주도하고 인허가도 간소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은 지역 주민과의 어업권 갈등 등으로 사업이 10년 넘게 겉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민관협의회에서 가까스로 합의가 이뤄진 덕분에 전북 고창과 부안 해역의 해상풍력 단지 건설에 탄력이 붙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로는 서남해(2.4GW)를 비롯해 신안(8.2GW), 울산·동남권(6GW) 등 세 곳이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에는 아직 착수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탐라와 영광 등 세 곳에서만 해상풍력이 소규모로 가동되고 있을 뿐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입지에서는 24시간 365일 강한 해풍을 발전원으로 쓸 수 있는 해상풍력은 신재생 에너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축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오는 2030년 12GW 준공으로 '해상풍력 세계 5대 강국'으로 도약하기 위해 이젠 민간에만 맡기지 않고 사업 초기부터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성혁 / 산업부 재생에너지산업과 과장 : 이런 사례는 앞으로 국내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도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롤모델이기 때문에 서남해 해상풍력의 합의, 그리고 양해각서 체결이 앞으로 우리 해상풍력의 보급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입지정보도 구축 등을 통해 해상풍력에 적합한 부지를 직접 발굴합니다. <br /> <br />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집적화 단지 형태로 개발하면서 인허가 통합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주민이나 지역과 개발 이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가장 큰 난관인 주민 설득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12GW 해상풍력 준공이 이뤄지면 연간 8만7천 개 수준의 많은 일자리가 생깁니다. <br /> <br />해상풍력은 조선, 기계, 철강 등 제조업이나 건설업과의 연계성이 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양이원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여러 부처에 걸쳐서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정부가 주도하게 되면 부처간 칸막이를 뛰어넘어서 부처간 서로 협력해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71807411432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