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김 씨 월북 직전 행적 군 감시 장비에 포착" <br />군 당국, 사건 당시 경계 작전 실태 조사 중<br /><br /> <br />합동참모본부는 탈북민 김 씨가 배수로 철조망을 뚫고 강으로 나가 월북한 거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김 씨의 월북 직전 행적이 군 감시 장비에 찍혀 정밀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탈북민 김 씨가 배수로 철조망을 뚫었다는데,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탈북민 김 씨는 지난 18일 새벽 강화 월곳리 연미정 인근 배수로를 통해 탈출한 뒤 헤엄쳐서 월북한 거로 추정되는데요. <br /> <br />박한기 합참의장은 오늘 국회 국방위에서, 김 씨가 배수로의 장애물을 차례로 뚫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철근으로 마름모꼴로 만든 장애물과 바퀴 모양의 철조망이 이중으로 있는데 오래됐고 녹슬어서, <br /> <br />키가 작고 왜소한 김 씨가 벌리고 빠져나갈 수 있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합참은 또 김 씨의 월북 직전 행적이 군 감시 장비에 포착돼 정밀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국방조사본부와 합참 전비태세 검열단이 사건 당시의 경계 작전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조사 결과에서 경계 부실이 드러나면, 해당 병력과 간부들, 상급 지휘관들에 대한 문책성 인사가 잇따를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한편에선 해당 지역 부대에 이번 사건의 책임을 다 지우는 건 과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지역 경계는 해병대 2사단이 맡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담당 구역은 넓지만, 육군사단보다 병력은 부족해 경계 임무가 과중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임태훈 / 군인권센터 소장 : 사실상 이쪽 지역이 뚫릴 수밖에 없는 게 해병대는 병력이 굉장히 적거든요, 육군보다 훨씬. 작전 통제는 육군 수도군단이 합니다. 그러니까 사실 해병대 보고 책임 다 지라고 하면 억울한 지점이 있는 거죠. 수도군단이 작전에 실패한 건데.] <br /> <br />합참은 이번 사건에 대한 조사가 끝나는 대로 결과를 한 점 의혹 없이 낱낱이 공개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72813433119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