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염경로 오리무중…더 늘어난 깜깜이 감염에 전국 비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300명을 넘어서며 전국적으로 비상이 걸린 가운데,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감염자가 20%를 넘겼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어디부터 손을 써야 할지 몰라 애를 먹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호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전에서 181번째로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20대 남성.<br /><br />지난 20일 확진됐는데, 감염경로가 아직까지 오리무중입니다.<br /><br />22일을 기준으로 대전시 발표를 살펴보면 이 181번 확진자를 시작으로 가족 2명이 확진됐고, 이들과 밀접접촉한 4명이 추가 확진됐습니다.<br /><br />최초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가운데 도미노처럼 연쇄 확진으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충북에서도 광복절 이후 7일간 15명이 확진판정을 받았으나 이 중 6명은 감염경로가 곧바로 드러나지 않아 조사중입니다.<br /><br />전남에서도 21, 22일 이틀간 20여명의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는데 화순 등의 감염자는 경로를 알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렇듯 전국에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감염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주간 발생환자 10명 가운데 2명은 이렇게 깜깜이 감염에 의한 확진입니다.<br /><br /> "전체적으로 최근 2주간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국내집단발병이 62%이고 조사중 비율이 20.2%로 높아진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특히 깜깜이 감염의 경우 집단 내 감염과 달리 확진자 접촉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깜깜이 감염은 최초 감염원을 찾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 방역조치를 취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전국의 자치단체는 중앙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과 더불어 더 강도높은 방역대책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 "사회복지시설, 경로당, 어린이집도 휴관 및 휴원 조치합니다. 다만 긴급돌봄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전국의 자치단체와 방역당국은 깜깜이 감염을 통한 확산을 막기 위해 무엇보다 10인 이상 모임을 자제하고, 음식물을 먹고 마실 때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