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홍콩에 이어 미국에서도 처음으로 코로나19 재감염 환자가 보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째 걸렸을 때는 증상이 더 심각했는데,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더라도 완벽한 면역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네바다주 리노에 사는 25살 남성이 지난 6월 코로나19에 재감염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 코로나19 재감염이 보고된 첫 사례로 이 남성은 지난 4월에도 가벼운 증상을 보이며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엔 폐렴에 걸려 병원에 입원해야 할 정도로 증세가 악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네바다주 공중보건연구소 등의 연구자들은 이 남성에게 첫 감염과 두 번째 감염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유전적 계통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최초 감염 때 체내에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자연적으로 변이를 일으켜 두 번째 발병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홍콩에서도 30대 남성이 지난 3월에 코로나19에 걸렸다가 완치된 뒤 4달 만에 다시 염기서열이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에 재감염됐고, 네덜란드, 벨기에, 브라질 등에서도 재감염 사례가 보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재감염이 흔한 일은 아니지만 바이러스에 한 차례 노출됐다고 해서 완전히 면역되는 것은 아니라는 게 다시 확인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[마리아 반 케르코브 / WHO 코로나바이러스 기술 책임 : 다른 코로나바이러스나 메르스, 사스 등의 경험에 비추어 항체는 일정 기간 반응한 후 사라질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극소수의 코로나19 재감염 사례를 기준으로 항체의 면역력 지속 기간이나 백신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앤서니 파우치 미국 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장은 이미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된다고 해도 홍역처럼 영구 면역을 제공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매년 독감 백신을 맞듯이 코로나19도 해마다 백신을 접종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82922233084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