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환자 병상 수도권 10개 남아…5개 시도는 '0'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중환자가 급증하면서 병상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의 경우 즉시 쓸 수 있는 중환자용 병상이 10개 밖에 남지 않았고 5개 시·도에선 이미 다 찼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중증 이상 환자는 79명, 하루만에 9명이 더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은 인공호흡기 삽관 치료가 가능한 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데, 중환자용 병상이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에 중환자용 치료병상은 517개로, 현재 즉시 가용한 병상은 39개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수도권에선 10개밖에 남지 않았고 광주와 대전, 강원, 전남·북 등 5개 시·도에는 입원 가능한 병상이 아예 없습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 고령자들의 확진이 늘면서 중환자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데 방역당국은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위·중증 환자가 오늘(현재) 79명으로 지난주에 비해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사망자도 계속 보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음압이 가능한 코로나19 일반 치료병상 역시 빠르게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1,700개 가운데, 500여개밖에 운용할 수 없는 상태로, 이번 주 매일 수백명씩 확진자가 나오면 포화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은 생활치료센터를 기존보다 2배 늘린 상태로 경증환자들을 옮겨 치료하고, 이렇게 확보한 병상을 중환자용으로 쓰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여력이 되는 병원들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계속해서 확충을 해나가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특정 지역에 중환자 치료 병상이 부족할 경우 다른 권역으로 옮겨 치료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