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 "처벌 원치 않는다"…복지부·전공의 대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집단휴진에 참여한 전공의들을 경찰에 고발한 정부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며 유연한 자세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저녁에는 전공의들과 보건복지부 실무진이 비공개 대화를 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보도국 연결해 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정부가 의사단체의 집단휴진과 관련해 단 1명의 의료인도 처벌 받길 원하지 않는다며 진료에 복귀하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정세균 국무총리는 오늘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들과 만나 "정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유연한 자세로 최선을 다할 생각"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오늘부터 예정된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의대생들의 응시 취소 사태로 일주일 연기한데 이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건데요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오늘 저녁 보건복지부 실무진과 전공의들이 비공개로 만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전공의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만남이 협상을 위한 자리는 아니고, 집행부가 직접 나서 참여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일선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가 어제 의료정책을 놓고 전공들의 공개토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 전공의협의회가 오늘 기자회견에서 수용 의향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공개토론회가 성사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공의협의회와 정부는 아직까지 서로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전공의협의회는 정부가 등 4대 의료정책을 전면 철회하고 원점에서 재논의한다는 것을 문서로 명문화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4대 의료정책은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, 한방 첩약 급여화, 비대면 진료 육성입니다.<br /><br />필수 의료 기피 현상과 지역간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선 의료 수가 정상화와 지역 내 병원 확충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추진은 어떠한 조건도 걸지 않고 이미 중단된 상태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공의들이 철회를 촉구하는 한방첩약 시범사업, 공공의대 신설 등은 행정부 권한을 벗어난 사안으로 건강보험법 위반, 국회 입법권 관여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정책 철회 요청이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집단적인 진료 거부까지 강행할 만큼 중요하고 시급한 것인지 재고해 달라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양측의 입장이 맞서는 가운데 오는 7일 의사협회의 3차 무기한 파업을 앞두고 대화와 공개토론회를 통해 접점을 찾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공의들의 집단휴진 12일째인데. 교수급 의료진도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전공의들의 집단휴진이 12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가 전국 수련기관 200곳 가운데 151곳의 근무 현황을 점검한 결과 어제 기준으로 전공의 7,975명 가운데 83.9%가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8일 휴진 비율 75.8%보다 다소 높아진 겁니다.<br /><br />전임의들의 휴진율은 32.6%로 집계 됐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와 전임의의 사직서 제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는 어제 기준 소속 전공의 953명 중 93.9%가명, 전임의 281명 중에는 87.9%가 사직서 제출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교수급 의료진도 전공의들의 단체행동을 지지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서울성모병원 외과 교수들이 오는 7일 하루 응급환자, 중환자, 입원환자 진료를 제외한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한다고 밝혔고,<br /><br />같은 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들도 "전공의 중 단 한 명이라도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 사직을 포함한 모든 단체 행동을 마다하지 않겠다"는 의견문을 냈습니다.<br /><br />가톨릭중앙의료원은 산하 8개 병원은 공동 성명에서 전공의와 전임의를 지지한다며, 부당한 행정처분이나 공권력 집행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중앙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들은 '사직 성명서'를 통해 "부당하고 일방적인 정부 정책이 철회되고 전공의들에 대한 고발이 취소되는 순간까지 전공의와 함께 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