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4차 추경 자금 7조 8천억의 절반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지원에 쓰일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으로 영업에 제약을 받은 업종을 중심으로 최대 2백만 원의 지원금을 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의 이번 4차 추경안은 무엇보다 소상공인의 긴급 피해구제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격상되면서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전체 추경 자금 절반을 소상공인 지원에 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: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377만 명을 지원하기 위해 추경 규모의 약 절반인 3.8조 원을 지원하겠습니다. 코로나 재확산으로 피해와 고통이 가장 큰 데다가 집합금지, 운영제한 등으로 소상공인 분들의 희생이 컸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우선 매출이 감소한 연 매출 4억 원 이하 음식점, 실내결혼식장에는 100만 원이 지급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'집합제한'이나 '집합금지' 명령으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업종에 대해서는 매출 감소 규모에 상관없이 최대 2백만 원을 지원합니다. <br /> <br />집합금지 업종 가운데는 전국의 PC방, 노래연습장, 3백인 이상 대형 학원 그리고 수도권 헬스장, 당구장 등이 지원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또 수도권의 프랜차이즈 커피숍, 주점 등 집합제한 업종을 운영하는 32만여 명에게는 지원금 150만 원이 지급됩니다. <br /> <br />직접 지원금뿐 아니라 피해가 집중된 업종을 중심으로 저금리 대출을 확대하고 지원 한도 역시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정부지원에서 연 매출 4억 원을 웃도는 상인들이 제외된 건 또 다른 형평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작년 소득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지원 기준 때문에 올해 창업한 업주들은 소득 증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91021470097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