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, 쿼드서 중국 포위전선 압박…"아태 연대해 맞서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이 일본과 호주, 인도 등 4개국 외교장관 회의인 쿼드에서 예상대로 중국에 대한 포위 전선 구축을 압박했습니다.<br /><br />쿼드 정례화 등 성과도 있었지만, 미국이 애초 노렸던 대 중국 단일대오 형성에는 못 미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과 일본, 호주 그리고 인도의 외교장관이 일본 도쿄에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4개국 협의체인 쿼드의 장관급 회의가 작년 처음 열린 뒤 1년 만에 다시 개최된 겁니다.<br /><br />주요 의제는 중국의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문제.<br /><br />중국과 전방위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미국은 대 중국 포위 전선 구축을 압박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가 너무 오랜 기간 중국의 위협에 노출돼 있었다면서 인도·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연대해 맞서야 한다고 강조한 겁니다.<br /><br /> "쿼드의 파트너로서, 우리가 중국 공산당의 착취와 부패, 강압으로부터 우리 국민과 파트너를 보호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."<br /><br />미국은 쿼드를 한국 등을 포함해 러시아 대항 차원에서 만들어진 북대서양조약기구, 나토 같은 기구로 확대한다는 복안도 갖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 4개국 장관들은 외교장관 회의의 정례화에 합의하는 한편,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응하는 '자유롭고 열린 인도·태평양' 실현을 위한 협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대중 압박의 수위에 있어서는 미국과 나머지 국가들의 온도 차가 감지됐습니다.<br /><br />공동성명은 채택되지 못했고 중국과 관계를 아예 무시할 수 없는 일본과 호주, 인도는 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한 겁니다.<br /><br /> "우리 4개국은 민주주의와 법치, 자유경제라는 기본적 가치를 공유합니다.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·태평양이라는 틀이 우리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몫이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당초 한국도 방문할 예정이던 폼페이오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일본만 방문하는 것으로 일정을 바꿨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