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2014년 이후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 체재로 개편 <br />이건희 회장 별세에도 당장 그룹 경영에는 영향 없을 듯 <br />상속세만 10조 원…주식 처분 과정에서 지배구조 빈틈 우려<br /><br /> <br />이건희 회장의 별세로 삼성그룹은 장남인 이재용 부회장의 지배 체제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막대한 상속세와 더불어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벌어진 '사법 리스크'를 해결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과제를 남겨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4년 이건희 회장이 갑작스럽게 쓰러진 이후 삼성 그룹은 자연스럽게 장남인 이재용 부회장 체제로 개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부회장이 사실상 총수 역할을 맡아 6년 넘게 일선을 지휘해온 만큼 이 회장의 별세가 당장 그룹 경영에 영향을 미치진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앞으로 삼성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결코 간단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이 회장이 보유한 18조 원 규모의 삼성그룹 주식을 어떻게 처분할지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와 삼성SDS, 삼성물산, 삼성생명까지 4개 계열사의 주식을 상속하려면 10조 원 넘는 상속세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 막대한 재원을 마련하려면 일부 주식을 처분할 수밖에 없어, 이 부회장을 정점으로 한 지배구조에도 빈틈이 생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불거진 이른바 '사법 리스크'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. <br /> <br />[이재용 / 삼성전자 부회장(지난 5월) : 이제는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 법을 어기는 일은 결코 하지 않겠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몇 년 사이 국정농단 수사에 이어 삼성 바이오로직스 사태까지 검찰이 이 부회장의 불법 승계 의혹을 정조준한 만큼 적어도 수년 간은 법적 공방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최악의 경우 또 한번의 총수 구속과 경영 공백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 부분을 확실히 매듭짓는 것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2522122880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