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미국행 발언과 외교·안보 당국자의 연이은 미국행을 외세에 의존하는 행태라고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중국과는 정상 간 축전을 주고받으며 북중 친선을 과시하는 이중적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사실상 총괄해온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미국 방문을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"남북관계는 남북만이 아닌 미국 등 주변국과 풀어야 할 문제"라는 발언을 문제 삼았습니다. <br /> <br />[서 훈 /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(지난 26일) : 남북 관계나 북한의 핵 협상이 시작된 것도 폼페이오 장관이 CIA 부장으로 있을 때부터 우리와 긴밀하게 협의한 가운데 계속돼온 것 아니겠습니까.] <br /> <br />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서 실장의 미국행은 더러움을 뜻하는 "구접스럽다", 그의 발언은 "얼빠진 나발", "남북 공동선언에 대한 배신" 이라고 깎아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관계를 국제관계의 종속물로 격하시킨 망언이란 겁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 선전매체 '메아리'도 서욱 국방장관과 최종건 외교차관 등 고위 당국자들의 잇단 미국 방문을 "외세에 의존하는 쓸개 빠진 추태"라고 조롱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동안 우리 정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해온 북한이 미 대선을 앞두고 한미 간 밀착 움직임을 경계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 : 북한이 미 대선 결과와 그 이후의 한미관계, 특히 한미간 대북 정책의 공조 문제 등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합니다.] <br /> <br />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잇따라 친서를 교환하며 북중 우호를 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은 김 위원장의 축전에 대한 답전에서 세계적 대변화 속에 북한과 지역 평화·발전을 추진할 뜻을 밝히면서 대북 제재 속에 경제 협력 의지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북한은 합동참모본부가 연례 시행하는 호국훈련에 대해 도발이며 대결 망동이라고 반발하고 나서 군 당국은 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02923200319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