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치권도 촉각…"평화프로세스 재가동"·"비핵화 우선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치권도 미국 대선 결과가 가져올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수 있어서인데요.<br /><br />의원 외교를 위한 방미단도 속속 꾸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보도에 박초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은 누가 되면 나아지고, 나빠질 것이라고 속단할 필요는 없다면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묘수가 '한반도 평화 프로세스'의 재가동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내년 여름 도쿄올림픽을 북미대화와 비핵화 협상의 불씨를 되살릴 기회로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미 대선 이후 내년 도쿄올림픽에 이어 2022년에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연속해서 개최됩니다. 한반도 운전자 역할이 긴요해지는 시기입니다."<br /><br />국민의힘은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북한의 비핵화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가 종전선언, 경제협력을 비핵화에 앞세운다면 한미 협력이 어려워질 거란 겁니다.<br /><br />미중 갈등 속에서 우리나라가 혹독한 실험대에 올라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신냉전 체제로 돌입하는 초강대국 미국과 중국의 틈 사이에 끼어서 안보와 통상분야에서 선택을 강요당할 일이 더 잦아질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미 대선 결과가 나오면 정부와 정치권 인사들의 미국 방문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우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이달 8일 미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송영길·윤건영 등 민주당 한반도 TF 소속 의원들은 이달 16일 방미해 당선자 측 인사를 만납니다.<br /><br />12월부터는 초당적 방미단이 의원 외교에 나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초롱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