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산 백신은 초기단계…속도 내는 치료제 개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화이자가 개발 중인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90% 이상의 효과를 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백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화이자 백신을 들여와서 실제 접종이 이뤄지는 것은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하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그렇다면 국산 치료제와 백신 개발은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이진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 속 항체에 남아있는 유전정보를 복제하는 '항체 치료법'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이 항체치료제는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임상 1상에서 4∼5일 안에 바이러스가 사멸하는 효과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지난 9월부터 대량생산에 들어간 셀트리온은 10만 명 정도의 코로나19 환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약을 생산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 "유효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면 내년 초에 조건부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완치차 혈액 속 혈장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'혈장 치료제'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녹십자가 개발 중인데,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이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 "칠곡 경북대병원을 시작으로 임상시험 중인 약을 긴급하게 쓰는 치료목적 사용승인이 이어지고 있고요. 지금 현재 총 5곳까지 확대가 돼서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백신은 해외에 비해 개발이 다소 더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제넥신이 지난 6월부터 임상 1상을 진행 중이고, SK바이오사이언스와 진원생명과학은 올해 안에 임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미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는 해외 제약사들에 비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상용화가 되기까지는 해외 백신보다 늦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코로나19 재유행 등 장기적으로 봤을 때 국산 백신이 필요한 만큼, 개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