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일본해' 표기 역사속으로…新해도 '고유번호'로 표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각국이 바다 이름을 쓸 때 기준으로 삼는 것, 국제수로기구의 표준 해도집인데요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기존에 표기된 '일본해'에 '동해'를 함께 쓰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.<br /><br />그 결과, 새로운 해도에는 고유번호로 표기하는 방식이 도입됩니다.<br /><br />신새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향후 국제 바다 표기 기준이 될 새로운 디지털 해도집에서 '일본해' 표기가 없어지게 됩니다.<br /><br />'동해' '일본해' 같은 명칭 대신 고유식별번호를 쓰기로 한 겁니다.<br /><br />국제수로기구, IHO의 화상 총회 결과 지난 1953년 발간된 해도 'S-23' 대신 개정판 'S-130'을 도입하는 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이로써 동해 명칭을 둘러싼 한ㆍ일 분쟁도 외교전을 시작한 지 23년 만에 변곡점을 맞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새로운 디지털 해도가 개발되는 동안의 '유효한 표준'이 무엇인지를 둔 논쟁은 여전히 남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앞서 일본 정부는 "'일본해'를 사용하는 해도집을 앞으로도 IHO 출판물로 공식 이용할 수 있다"고 해석한 가운데, 우리 정부는 "새 표준을 개발하는 동안, 역사적 변천을 보여주기 위해 출판물로서만 공개된다"는 점을 들어 이에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한ㆍ일 양측이 동의한 '식별번호 표기안' 마련은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 "이제는 일본 측에서 일본해에 관련된 주장을 뒷받침하는 명분이 사라졌다는 게 가장 큰 소득이라고 생각합니다. 번호로 바뀌었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, 지금부터 번호에 관한 명분을 세계인에 널리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.:<br /><br />디지털 해도의 개발이 완료돼 도입되기까지는 최소 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향후 지리정보시스템상 속성정보로 '동해'가 포함되도록 적극 노력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