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이자·모더나 백신, 80∼90% 선진국이 선확보 <br />중진국·저개발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주목 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, 안전성과 효능 검증 미흡<br /><br /> <br />영국이 백신 긴급사용을 승인한 데 이어 주요 선진국들이 속속 백신 접종 준비에 나서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하지만 주요 선진국들이 '백신 선계약'을 통해 '대량 확보'에 나서면서 국가별 불평등이 벌써 현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강성옥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에서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의 긴급사용 승인을 한데 이어 독일은 수도 베를린에 6곳의 백신접종 센터를 설치하는 등 발빠르게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에릭 마머 / EU 집행위원회 대변인 : 우리는 누가 더 좋은 '승인 제도'를 갖고 있는지 경쟁하는 게 아닙니다. 축구 경기가 아닙니다.] <br /> <br />화이자에 이어 모더나 백신도 미국과 유럽연합, 캐나나, 스위스, 영국, 이스라엘, 싱가포르 등에서 승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은 한번 접종에 2만원 안팎, 모더나 백신은 3만원 이상의 비용이 예상되고 둘 모두 2번의 접종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이들 제품은 메신저 RNA를 이용해 만든 백신이어서 영하 70, 혹은 영하 20도 이하의 저온 보관 시설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접종과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이 두 백신은 선진국들과 생산량의 80-90%에 달하는 분량에 대해 이미 계약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저개발국가는 물론 중진국들도 이들 백신의 확보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영국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백신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회사 백신은 한 번 접종에 4천원 정도로 저렴하고 바이러스를 이용해 만든 백신이기 때문에 보관과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 옥스퍼드대와 함께 개발 중인 아스트라제네카는 이윤을 남기지 않고 살림이 어려운 국가들에게 대량 공급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아직까지 안전성과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약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화상으로 진행된 G20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들이 백신과 치료제의 공평한 공급을 촉구했지만 현실은 국력과 돈의 논리가 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성옥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20403394282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