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아스트라제네카와 선구매 계약…첫 백신 도입 계획 <br />"아스트라제네카 임상시험 7주 중단…경쟁사에 뒤처져" <br />"미 FDA의 아스트라제네카 승인, 내년 1월에나 가능할 듯"<br /><br /> <br />우리 정부가 가장 먼저 도입할 계획인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의 백신이 내년에야 미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<br /> <br />미국 보건당국의 신뢰를 잃어 승인 경쟁에서 뒤처지게 됐다는 것인데 우리 정부의 백신 확보 계획에도 차질이 우려됩니다 <br /> <br />강성옥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가 공동개발하는 백신을 가장 먼저 도입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금 상황에선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"아스트라제네카가 부작용 관련 자료를 미 식품의약국, FDA에 늑장 제출했고 이 때문에 미국 내 임상시험이 7주 동안 중단됐다"며 "그 사이에 경쟁사가 치고 나갔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미 식품의약국 FDA에서 사용승인을 받는 것은 이르면 내년 1월에나 가능할 것"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제조사의 실수로 우연히 얻게 된 접종분량에 따른 효능 차이도 문제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<br /> <br />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는 이 이유를 아직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미 FDA는 영국에서 접종이 시작된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의 과학적 평가 결과가 양호하다며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사용허가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<br /> <br />[존 그라벤슈타인 / 면역행동연합 부국장 : FDA가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이 95%의 효능이 있다는 세부 자료를 공개했는데 이것은 좋은 뉴스입니다.] <br /> <br />FDA는 다만 16세 미만이거나 임산부, 또는 면역 체계가 손상된 이들에게도 백신이 안전하다고 판단할 데이터는 불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FDA는 현지시간으로 10일 대규모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열어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의 안전성 평가와 대규모 접종 권고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<br /> <br />이에 따라 미국에선 이르면 며칠 안에 화이자 백신의 사용허가와 함께 첫 접종이 이뤄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성옥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21003393279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