두 팔을 지닌 로봇, 방사능 유출 틈새 봉인 작업 <br />사고 현장에서 소화액 분사, 밸브 조작도 가능 <br />무선 통신 기술로 현재 500m 거리 내에서 활동 <br />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개발 본격화<br /><br /> <br />원자력발전소에서 사고가 나면 방사능 위험 탓에 상황 파악과 신속한 처리에 어려움을 겪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원전 사고 현장에서 상황 파악과 1차 현장 처리까지 가능한 방재 로봇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자력 발전소 내부에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방사능 유출 위험이 있어 사람이 대피한 현장에 드론을 태운 로봇이 투입됩니다. <br /> <br />드론은 공중에서, 로봇은 최대 시속 60km의 빠른 속도로 주변을 돌며 현장을 파악하고 방사능 오염지도를 만듭니다. <br /> <br />이어 사고가 난 건물 내부로 투입되는 높이 30cm의 실내형 로봇 <br /> <br />방사선, 온도 탐지기를 탑재하고 계단과 장애물을 넘으며 방사선량, 열화상 정보와 3차원 지도, 그리고 실시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합니다. <br /> <br />실내, 실외를 탐지할 수 있는 로봇과 드론을 활용해서 원잔 사고 상황이 파악되면 다음인 실제 사고를 수습할 수 있는 로봇이 투입됩니다. 바로 '암스트롱'입니다. <br /> <br />두 팔을 가진 로봇이 방사능이 누출되는 건물 앞으로 이동합니다. <br /> <br />이어 팔에서 우레탄 폼을 분사해 방사능이 새어 나오는 틈을 막아버립니다. <br /> <br />콘크리트나 폐기물 드럼을 옮기거나 소화액 분사, 밸브 조작도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현재 로봇이 독자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범위는 500m 정도 <br /> <br />최대 2배까지 늘리면 원전 사고에서 사람이 투입되지 않아도 초동 조치가 충분합니다. <br /> <br />[박종원 / 원자력연 로봇응용연구부 : 사고나 나면 통신망이 무너지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해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 현재는 대략 500m 정도 최대 거리를 가지고 있고요, 향후 1km까지 통신 거리를 늘려나갈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방재 로봇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무인 방재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정경민 / 원자력연 원자력안전연구소 : 2015년부터 개발을 시작해서 원전 내 방재훈련을 6번이나 적용하면서 시스템이 실제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현재 로봇으로 사고 현장 파악과 1차 조치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지만, 고농도 방사능 환경에서도 작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121521192491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