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과의 동결 자금 협상에 우위 점하려는 계산 <br />AP통신 "동결 자산과의 연관성 직설적으로 인정" <br />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산 7조6천억 원 규모<br /><br /> <br />이란이 이번 우리 화학 운반선 나포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이란 돈을 인질로 잡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대변인의 이런 입장 발표로 한국 계좌에서 출금이 동결된 이란 자금이 유조선 나포 배경 중 하나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란 혁명수비대의 우리나라 국적 화학 운반선 '한국케미' 나포와 관련해 이란 정부 대변인이 온라인 회견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알리 바이에이 대변인은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가 인질극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일축하면서 오히려 한국 정부가 인질을 잡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알리 라비에이 / 이란 정부 대변인 : 누군가 인질범으로 불려야 한다면 그것은 한국 정부입니다. 우리 소유인 70억 달러를 근거없이 인질로 잡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란혁명수비대는 나포 이유로 해양오염 혐의를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한국 계좌에 동결된 이란 자금에 대한 불만이거나 적대관계인 미국과 그 동맹국을 겨냥한 조치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나온 라비에이 대변인의 발언으로 미국의 제재로 한국 계좌에서 출금이 동결된 이란 자금이 '한국케미'를 나포한 배경 중 하나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 외교 차관의 이란 방문이 추진되는 시점에 한국 선박을 억류한 건 동결 자금 인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계산이 깔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 이란에서는 "동결된 자금을 코로나19 백신 구매에 사용하는 방안을 한국과 협의 중"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AP 통신은 이란 정부 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"동결된 자산과의 연관성에 대해 가장 직설적으로 인정했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과 IBK기업은행·우리은행에 따르면 한국 내 동결된 '이란 자금'은 약 70억 달러, 우리 돈 약 7조6천억 원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2018년 이란 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려 이 계좌를 통한 거래가 중단됐으며, 이란 정부는 자금 동결을 해제하라고 요구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10523540002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