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의회 난동 거센 후폭풍…'선동 책임' 트럼프 고립무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의회 난동 사태 후폭풍이 거셉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지지자들을 선동했다는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고 경찰 대응을 둘러싼 논란도 일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상 초유 의회 폭동 현장을 목격한 미국 사회는 적잖이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조금 전 연설을 통해 "어제는 미국의 민주주의와 법에 전례없는 폭력이 가해진 가장 어두운 날"이었다며 "그들은 시위대가 아니라 반란자, 폭도, 테러리스트"라고 맹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년간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민주주의와 헌법이 무시돼 온 것이 어제의 폭력을 촉발시켰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경찰과 수사당국은 의회 진입을 주도한 인물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DC 경찰과 FBI는 시위대 핵심 인물의 사진과 영상을 SNS에 올리며 검거를 위해 시민들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지금까지 68명을 체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특히 지난해 5월 워싱턴 D.C.에서 벌어졌던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 다른 경찰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어제 경찰의 저지선이 시위대 앞에서 맥없이 뚫리는 모습이 전 세계에 중계되면서 과연 경찰의 대응이 적절했는지 의문이 제기되는데요.<br /><br />뮤리엘 바우저 워싱턴 DC 시장은 어제의 사태는 교과서적인 테러라며 시위대에 대한 수사 뿐 아니라 치명적인 보안 실패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의회경찰은 의회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는 데도 낮은 장벽을 설치하고 폭동 진압 장비가 아닌 제복을 입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소셜 미디어에 올라온 한 영상에는 경찰이 시위 참가자와 사진을 찍는가 하면, 시위대가 더 가까이 다가오도록 보안 장벽을 열어주는 장면이 담겨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이같은 대응은 지난해 5월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는 대비돼 더욱 논란인데요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와 CNN 등 미 언론은 즉각 주방위군이 총동원되고 하루 수십명이 체포됐던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 너무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당시엔 워싱턴DC와 11개 주에서 주방위군이 동원됐고 워싱턴DC 외곽엔 현역병까지 배치됐으며 군용 헬기가 저공비행하며 시위대 해산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당선인도 "어제의 사태가 인종 차별에 항의하는 'Black lives matter' 시위대였다면 분명 아주 다르게 다뤄졌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, 이제 임기가 2주도 남지 않았는데요.<br /><br />핵심 참모들까지 등을 돌리고 있고 의회에서는 탄핵 주장까지 나오고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임기를 단 13일 남기고 우군들마저 등을 돌리면서 고립무원으로 내몰리는 형국입니다.<br /><br />매슈 포틴저 국가안보부보좌관이 어제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임한 데 이어 일레인 차오 교통부 장관도 내각에서는 처음으로 어제 사태를 이유로 사임의사를 밝혔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핵심 우군이었던 행정부 2인자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의회 1인자인 미치 매코넬 상원 원내대표도 어제 사태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완전히 등을 돌린 모습인데요.<br /><br />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믹 멀베이니도 북아일랜드 특사직에서 사임한다고 밝히면서 "트럼프의 성공 리스트는 어제 모두 다 사라졌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의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해임 요구까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민주당은 물론 공화당에서도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해 트럼프 대통령을 해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수정헌법 25조는 대통령이 직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부통령이 직무를 대행하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공화당 소속 애덤 킨징어 하원의원은 "트럼프 대통령이 국민 보호 의무를 포기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"며 "내각에서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해야 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펜스 부통령이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지 않으면 의회에서 탄핵에 나서겠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